• 최종편집 2025-06-12(목)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결정에 의대생 복귀를 조건으로 달자 대한의사협회가 아예 한 명도 뽑아선 안 된다는 방침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결정에 의대생 복귀를 조건으로 달자 대한의사협회가 아예 한 명도 뽑아선 안 된다는 방침을 검토하고 있다.

의대생 복귀에 따라 2026학년도 증원을 결정하겠다는 정부 발표에 반발해 동결을 넘어 아예 한 명도 선발하지 말라는 주장이 힘받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도 2026학년도 의대 신입생 '0명 선발'을 본격적으로 검토한다.

의료계에 따르면 김택우 회장은 지난 8일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월례 정기회의에 참석해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면서 2026학년도 의대 신입생을 뽑지 않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24·25학번 순차 교육도 거론했다. 25학번은 1년간 일종의 '안식년'을 주고 24학번 진급 후 차례대로 수업을 받는 방법이다.

두 방안 모두 의료계 일각에서 꾸준히 제기된 내용이다. 의협 내부에서도 2026학년도 감원을 넘어 아예 신입생을 뽑지 말고 1,509명 증원에 따른 여파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있었다. 그러나 김 회장이 이를 공개 석상에서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이번에 정부가 증원을 멈추는 조건으로 의대생 복귀를 요구하면서 이에 대응해 의협 집행부 차원에서 이를 공식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A 시도의사회장은 9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김 회장이 전날 회의에서 이를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이전에 다른 임원들이 비공식적인 자리에서 간접적으로 언급하던 것과 차원이 다른 수준"이라고 했다.

마찬가지로 익명을 요구한 B 시도의사회장도 "김 회장이 2026학년도를 아예 뽑지 말자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드러낸 것은 전날 회의가 처음"이라면서 "아직 협회 공식 입장으로 확정하지는 않았으나 김 회장 본인은 의협 로드맵에 포함시킬 방침으로 여겨진다"고 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C 시도의사회장 역시 "이날 회의에서 김 회장의 논조나 발언 수위를 보면 그간 의협이 의정 대화 조건으로 요구해온 '마스터플랜' 이후 두 번째, 세 번째 요구사항으로 삼을 생각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다만 반응은 엇갈렸다. 정부가 의대생 복귀만 촉구하고 책임자 처벌 등 다른 요구를 외면하는 만큼 의협이 강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과 갈등 국면만 길어진다는 우려가 교차했다.

C 시도의사회장은 "정부가 의대생 유급·제적 등을 논하며 증원과 복귀를 엮는 만큼 의협에서 다음 행보를 고심하는 것도 당연하다"면서도 "이번 주부터 미필 사직 전공의 입대가 시작된다. 정부가 의협 요구를 거부하고 사태가 장기화되면 의료계 피해도 커진다. 이대로면 의대생과 전공의가 최대 피해자가 되는 상황을 면하기 어려울 듯해 우려스럽다"고 했다.

B 시도의사회장은 "정부는 책임자 처벌과 '의료개악' 중단을 요구하는 젊은 세대 목소리를 무시하고 정책 실패로 빚은 혼란을 국민과 의대생, 전공의에게 사과하지도 않았다"면서 "의견은 다양할 수 있으나 현 시점에서 의협이 여론과 상황을 살피고 내부 협의로 결정한 사안은 의료계에서도 따라야 또 다른 혼란과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2320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의협, 26학년도 '0명 선발' 공식화하나…24·25학번 순차 교육도 검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