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6-12(목)
 


의대교수들이 의대생 복귀에 대해 이뤄지고 있는 학장들의 휴학불가와 제적 선언에 대해 반발하며, 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귀울일 것을 촉구했다.

전의교협이 지난해 8월 공수처에 복지부·교육부장관에 대한 의대증원 관련 수사를<br>촉구하고 있다.
전의교협이 지난해 8월 공수처에 복지부·교육부장관에 대한 의대증원 관련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17일 ‘의대학장들께 드리는 글’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전의교협은 “지난주 교육부는 의대정원 원점 재검토가 아니라 단지 2026년 모집 인원에 국한해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으나, 그것은 의과대학 학생들의 복귀를 전제로 한다는 것이었다”며 “학칙에 따라 개인적으로 휴학연장을 신청한 학생들에게 교육부와 일부 의대 학장들은 일괄적 휴학 수리 불가와 제적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하지만 “이것은 교육자로서 올바른 자세라고 할 수 없다. 제적을 거론하기 전에 학장, 총장은 휴학을 신청한 개별 학생들과 충분한 대화를 해봤는가”라고 물으며 “압박과 회유를 통해 의학교육 정상화가 이뤄질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정부는 의정사태의 선결조건을 내세우지 말고 즉시 의대증원과 의료정책의 오류를 바로잡아야 하고, 의정사태의 책임을 통감해 조건부 강압적 지침이 아니라 사태 해결을 위한 진솔한 사과와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의교협은 “무리하게 추진될 의대증원의 당사자이자 피해자는 전공의와 가까운 미래에 의사가 될 학생들”이라며 “현 사태를 맞이해 누구보다 치열하게 고민하고 자신들의 희생을 감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의대 운영을 담당하는 의대학장과 총장들은 더욱 신중하고 진지한 자세로 당사자인 학생들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뜻을 헤아려주길 바란다”며 “이미 무너져 내린 이 나라의 의학교육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책을 만들어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7279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의대교수들 “휴학불가·제적 거론 말고, 의대생 학습권 보장해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